- DBR <품질 관리만큼 뛰어난 경영기법은 없다> 김연성 교수님 기고글 소개
-
- / 2018-01-03 / 695
안녕하십니까 ?
한국품질경영학회 사무국입니다.
저희 학회 신임회장이신 김연성 교수님께서 2018년도 1월호 DBR에 기고한 내용 소개해드립니다.
[DBR Column] 품질 관리만큼 뛰어난 경영기법은 없다
최근 몇 분의 최고경영자를 각각 만나 이야기 나눌 기회가 있었다. 전자, 화학, 방위산업, 생활용품, 아웃도어, 가구, 의료, 소방, 렌털 등 다양한 업종에서 좋은 실적을 내고 있는 사장님들과의 대화는 그 자체로 즐거웠다. 현실의 문제를 듣고 나름의 해결책을 논의한다는 점에서도 보람이 있었지만 그분들의 수십 년 경영 노하우에서 묻어나는 내공을 느끼는 것만으로도 짜릿한 경험이었다.
경영의 여러 주제를 놓고 제법 심도 있는 대화가 오갔다. 그중에서 특별히 기억에 남았던 공통 주제는 품질이었 다. 전공과 배경, 업종은 달랐지만 이분들의 품질관(品質觀)에는 남다른 면이 있었다. 마치 드론을 통해 숲과 나무를 다 들여다보는 기분이었다.
품질을 단지 공장이나 현장에서 일어나는 담당 직원들의 칸막이 속 업무로 보지 않고, 기업의 모든 분야에서 다뤄야 하는 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공급사슬 전체에서 불량이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혹시 문제가 생긴다면 추적해 개선하고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해 나간다는 점에는 모두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 품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서는 수주를 할 수 없으니 품질은 마케팅의 선행요소 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분들의 말씀을 듣고 나니 교과서 속 이론이 하나하나 정리되는 듯했다. 예방에 1원을 투자하면 검사에서 발생하는 10원과 실패할 경우 발생하는 100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1-10-100’의 원칙이나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개선하는 ‘식스 시그마’의 철학이 현장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다는 점이 고무 적이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고객 맞춤화, 개인화를 하면서도 고객의 기대를 충족하는 품질 수준을 달성해 나가는 일은 스마트 공장의 주요 과제라는 점에도 공감을 표시했다.
이들 경영자의 품질관에는 절실함이 있었다. ‘절실(切實)’은 ‘매우 시급하고도 긴요한 상태’라고 한다. 시급하며 중요한 일은 당장 실천에 옮겨야 옳다고 한다. 그래서 그들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품질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공장의 라인을 세우기도 했고, 품질을 책임지는 컨트롤타워를 사장이 직접 담당하거나 사장 직속으로 운영하며, 품질경쟁력 제고를 위해 경영품질의 세계적인 기준인 말콤 볼드리지 경영품질 모형을 현업에 정착시키고자 수년간 노력해 왔다고 한다. 이 또한 품질경영 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원칙들이다. 이렇게 이구동성으로 품질은 경영의 중요한 한 축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사실 품질은 상당히 익숙한 주제다. 4차 산업혁명,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에 대한 얘기가 나오면서 사람들은 ‘화 려한 기술’ ‘나를 위한 맞춤형 제품’ 등에 관심을 갖고 기업인들도 현란한 수사에 현혹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람들이 더 이상 품질 얘기를 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은 너무도 당연한, 마치 공기 속에 산소가 없으면 안 되는 것과 마찬가지인 정도로 당연시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걸 잊어서는 안 된다. 다른 것들에 눈이 팔려, 새로운 경영기법에 정신이 팔려 잠시라도 품질에 대한 고민을 놓는 순간 비즈니스는 그 자리에서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다.
경영의 여러 주제를 놓고 제법 심도 있는 대화가 오갔다. 그중에서 특별히 기억에 남았던 공통 주제는 품질이었 다. 전공과 배경, 업종은 달랐지만 이분들의 품질관(品質觀)에는 남다른 면이 있었다. 마치 드론을 통해 숲과 나무를 다 들여다보는 기분이었다.
품질을 단지 공장이나 현장에서 일어나는 담당 직원들의 칸막이 속 업무로 보지 않고, 기업의 모든 분야에서 다뤄야 하는 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공급사슬 전체에서 불량이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혹시 문제가 생긴다면 추적해 개선하고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해 나간다는 점에는 모두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 품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서는 수주를 할 수 없으니 품질은 마케팅의 선행요소 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분들의 말씀을 듣고 나니 교과서 속 이론이 하나하나 정리되는 듯했다. 예방에 1원을 투자하면 검사에서 발생하는 10원과 실패할 경우 발생하는 100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1-10-100’의 원칙이나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개선하는 ‘식스 시그마’의 철학이 현장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다는 점이 고무 적이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고객 맞춤화, 개인화를 하면서도 고객의 기대를 충족하는 품질 수준을 달성해 나가는 일은 스마트 공장의 주요 과제라는 점에도 공감을 표시했다.
이들 경영자의 품질관에는 절실함이 있었다. ‘절실(切實)’은 ‘매우 시급하고도 긴요한 상태’라고 한다. 시급하며 중요한 일은 당장 실천에 옮겨야 옳다고 한다. 그래서 그들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품질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공장의 라인을 세우기도 했고, 품질을 책임지는 컨트롤타워를 사장이 직접 담당하거나 사장 직속으로 운영하며, 품질경쟁력 제고를 위해 경영품질의 세계적인 기준인 말콤 볼드리지 경영품질 모형을 현업에 정착시키고자 수년간 노력해 왔다고 한다. 이 또한 품질경영 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원칙들이다. 이렇게 이구동성으로 품질은 경영의 중요한 한 축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사실 품질은 상당히 익숙한 주제다. 4차 산업혁명,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에 대한 얘기가 나오면서 사람들은 ‘화 려한 기술’ ‘나를 위한 맞춤형 제품’ 등에 관심을 갖고 기업인들도 현란한 수사에 현혹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람들이 더 이상 품질 얘기를 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은 너무도 당연한, 마치 공기 속에 산소가 없으면 안 되는 것과 마찬가지인 정도로 당연시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걸 잊어서는 안 된다. 다른 것들에 눈이 팔려, 새로운 경영기법에 정신이 팔려 잠시라도 품질에 대한 고민을 놓는 순간 비즈니스는 그 자리에서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다.
<저작권자 ⓒ DBR January 2018 Issue, DBR No. 240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총 게시글 195 건
- 195 [신간] 전남대 나명환 교수(학회 부회장) 도서발간 안내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473 062021.01
-
194
[신간] 세명대 김계수 교수(학회 부회장) 도서발간 안내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696
072020.10
[보도자료]Python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hwp(199)
- 193 아주대 장중순 교수(학회 이사) 따님 결혼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726 052020.10
- 192 [축전] 경기대 성시일 교수(학회 이사) 결혼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955 052020.10
-
191
[특강] 온세현 박사(前산학부회장) 전남농업기술원 특강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831
112020.09
KakaoTalk_20200910_161823308_01.jpg(230)
KakaoTalk_20200910_161823308_02.jpg(209)
- 190 [축전] 국가품질명장협회 형형우 前회장(학회 산학부회장) 장남 결혼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551 042020.09
-
189
[소식] 전남대 나명환 교수(학회 부회장)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협의회 참석 및 원장님 예방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700
012020.08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노수현원장님과 함께(위).jpg(306)
조달품질원 김대수 원장님과 함께(아래).jpg(268)
- 188 [부고] 서경대 이상복 교수(학회 전임회장) 별세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1280 242020.06
- 187 [신간] 인하대 김연성 교수(학회 전임회장) 도서발간 안내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1465 112020.05
- 186 [축전] 상명대 김희탁 교수(전임 이사) 장남 결혼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1457 202020.01
- 185 [부고] 경기대 남경현 교수 모친상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1365 142020.01
- 184 [출연] NIB 초대석 : 한국품질경영학회 김연성 전임회장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1347 022020.01
- 183 [축전] 삼성전자 심순선 고문님 장남 결혼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1791 122019.12
- 182 [신간] 한국경영정책연구원 장정빈 원장(학회 부회장) 도서발간 안내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1102 142019.11
- 181 [축전] 삼성전자 강주일 부장님 장녀 결혼 한국품질경영학회 / 조회수 : 1119 1120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