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공급망 위기는 변수 아닌 상수"…기업들 대책 마련 고심

지난해 서울 광장동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글로벌인재포럼 2021’ 행사에서 참석자들이 강연을 듣고 있다. 올해 포럼은 다음달 2~3일 같은 곳에서 열린다.  한경DB

지난해 서울 광장동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글로벌인재포럼 2021’ 행사에서 참석자들이 강연을 듣고 있다. 올해 포럼은 다음달 2~3일 같은 곳에서 열린다. 한경DB

 

 

코로나19와 미·중 갈등 고조, 여기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까지 겹치면서 세계 자유무역 시스템의 근간이던 세계무역기구(WTO) 체제가 1995년 출범 후 27년 만에 무력화되고 있다. 세계화 흐름에 역행하는 탈세계화가 가속화하면서 기업들도 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기업들이 가장 발 빠르게 대응하는 분야는 공급망 관리(SCM). 그동안 공급망 관리에선 재고를 최소화하고 수요 변화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적기 생산(just in time)’이 정석처럼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세계 곳곳의 공장이 마비되고 물류가 지연되면서 이 방식도 한계를 드러냈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무역 제재가 벌어지고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에너지,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기업들은 대안 찾기에 나섰다.

 

세계화가 한창이던 시절에는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세계 각국에 생산기지를 배치하는 오프쇼어링(offshoring)’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탈세계화 흐름에 맞춰 해외로 이전했던 생산 시설을 자국으로 옮기는 리쇼어링(reshoring)’은 물론 인접국에 생산라인을 분산하는 니어쇼어링(nearshoring)’, 우호국에 생산 시설을 배치하는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등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세계화로 인한 국제 분업의 혜택을 본 한국이 탈세계화의 타격을 더 크게 입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주요 국가가 산업 내재화에 속도를 낼 경우 한국처럼 무역을 근간으로 삼은 국가의 설 자리가 좁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국내 주요 기업도 공급망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작년 말 조직개편을 통해 경영지원실 내 공급망 인사이트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LG전자도 비슷한 시기에 각 사업본부의 SCM 조직을 강화했다. 기존의 SCM실을 SCM 담당 조직으로 격상하고, 반도체 개발·구매팀과 반도체 공급 대응 태스크를 새로 만들었다.

 

 

 

게시판 검색

총 게시글 216

TOP

(08506)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45, 에이스하이엔드타워3차 13층